새해가 시작될 때마다 새로운 다짐을 하고 계획을 세우게 되는데요. 새해에는 좋은 일들만 넘쳐나길 바라지만, 사실 인생을 살다보면 내가 원하는데로만 흘러가지는 않습니다. 이에 새해가 시작되기 전 혹시 이번 해에 내가 삼재에 해당하는 건 아닌지 궁금한 경우가 있는데요. 그렇다면 삼재란 무엇인지, 피하는법, 그리고 나의 삼재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삼재란 인간이 9년 주기로 맞이하게 되는 인생에서 가장 위험한 시기를 일컫는 단어 인데요. 9년이 지나가는 시점부터 3년 동안 별의별 재난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며, 이를 삼재팔난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참고로 삼재에 해당하는 각각의 해를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라고 일컫는데요. 삼재 1년차를 들삼재, 그리고 삼재 2년차를 눌삼재, 삼재 3년차를 날삼재라고 부르게 됩니다.
흔히 천살 (천재), 지살 (지재), 인살 (인재)의 기운이 이러한 삼재 때 몰린다고 하며, 삼재에 든 자를 위험하게 하기 때문에 온갖 것으로부터 몸을 사리고 조심해야 한다고 하죠. 그리고 자신 뿐 아니라 부모형제, 부부도 위험하게 해 삼재에 든 본인에게 간접적으로라도 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인데요.
사실상 삼재는 횃수가 지나감에 따라서 점점 가까워져 오는 시간 문제에 가깝기 때문에 특별히 막을 수는 없습니다. 대개는 부적이나 몸가짐, 치성 등을 통해서 삼재가 빨리 지나가길 바라는 사람들이 있기도 한데요. 다만, 삼재 안에서도 복삼재, 평삼재, 악삼재가 다 따로 있는데, 말 그대로 삼재로 재난이 왔는데 전화위복이 되면 복삼재, 예상한 대로 악재가 찾아왔다면 악삼재라는 것이죠. 자신이 올해 삼재에 해당하더라도 평소보다는 조금 더 조심하고 항상 긍정적인 생각을 잃지 않는다면 악삼재가 아닌, 복삼재 (전화위복)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한편 삼재 계산 방법은: 1. 자신이 태어난 해와 자신의 띠를 알아 낸다. 2. 자신이 태어난 해로부터, 아래의 표를 참고해 첫 삼재의 해를 알아낸다. 12지를 따르기 때문에 갑오년, 병신년 등의 이름만 알고 있으면 쉽게 찾을 수 있다. 3. 날삼재가 끝나는 해부터 9년씩 더하면 그것이 다음 삼재에 해당한다. 대개는 들삼재의 해에 12를 더하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