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는 고인이 된 분을 기리며 마지막으로 보내는 의식으로, 가족과 지인들이 함께 모여 고인의 삶을 추억하고 애도하는 중요한 시간 인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평균 장례비용 및 장례비 지원받는법 그리고 절감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1. 평균 장례 비용
장례비용은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주요 항목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 장레식장 대여: 시설의 규모, 위치 그리고 서비스 수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서울이나 부산과 같은 대도시의 장례식장은 하루 평균 100~3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 및 장의 용품: 관, 수의, 장의 용품 등의 비용 또한 품질 및 재료에 따라 다양한데, 특히 고급 재료로 제작된 관의 경우 몇 백만원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50만원~200만원 사이의 가격대 입니다.
- 음식 및 다과: 장례식을 치르는 동안 조문객들에게 제공되는 음식 및 음료의 비용으로, 조문객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몇 백만원에서 천만원 이상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장지 (화장 또는 매장): 화장 비용은 평균 50만원~100만원 정도이며, 매장의 경우 묘지 구입이나 납골당 비용으로 몇 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들 수 있습니다.
즉, 한국에서 장례를 치르는데 드는 평균 비용은 약 1,000만원에서 2,000만원 사이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장례 유형에 따른 비용
장례식이 전통 장례식인지 또는 현대식 장례인지에 따라서도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통 장례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3일장에서 5일장까지 진행되면서 가족과 친지들이 많이 참석하기 때문에 비용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의례에 필요한 다양한 장의 용품 및 서비스가 포함되어 평균 2,000만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죠.
반면 전통 장례식보다 간소화된 현대식 장례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낮으며, 평균 1,000만원 정도로 예상 됩니다.
3. 장례비용 지원 받는법
각 지자체에서는 소외계층 또는 국가보훈대상자 등을 대상으로 장례비를 지원 중에 있습니다. 각 지자체 마다 지원하는 내용이 다르므로, 정부24 홈페이지에서 검색하면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정부24 홈페이지 메인페이지에서 ‘장례 지원’ 또는 ‘장례식 지원’으로 검색한 후 ‘보조금24’ 카테고리에서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4. 장례 비용 절감 방법
장례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우선 장례보험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보험은 갑작스러운 장례 비용 부담을 줄이는 좋은 방법으로, 미리 보험에 가입해 두면 장례 준비 시 보험금으로 비용을 충당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화장은 매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식으로, 환경 보호 측면에서도 장려될 뿐 아니라 비용적 측면에서도 경제적 입니다.
그리고 장례식장 비용은 지역 별로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여러 곳을 비교해 보도록 합니다. 참고로 대도시보다는 지방의 장례식장이 저렴할 수 있습니다.